맨위로가기

김정 (148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정(148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04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07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정언, 순창 군수 등을 지내며 폐비 신씨 복위를 주장하다 유배되었으며, 이후 부제학,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조광조와 개혁 정치를 펼쳤다. 그러나 기묘사화로 인해 사사되었으며, 문집으로 《충암문집》, 저서로 《제주풍토록》 등을 남겼다. 1576년 문간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청백리에 녹선되기도 했다.

2. 생애

1516년 부제학, 동부승지, 도승지, 이조참판, 대사헌, 병조판서를 역임하고 조광조와 함께 미신 타파와 향약 시행 등 개혁 정치에 힘썼다. 그러나 1519년 기묘사화로 몰락해 충청도 금산으로 유배, 다시 제주도로 이배되었다가 위리안치(圍離安置)된 뒤, 사약을 받고 사사되었다.[1]

폐비 신씨를 복위하는 데 적극 나서는 등 절의에 뛰어났다는 평가와 형조판서 재임 시절 감옥에 수인(특히 출세한 천인)들이 넘쳐나고 죽는 사람이 너무 많아 특별조사까지 받았던 무자비한 관료였다는 평가가 엇갈린다. 시화에 능했으며 문집에는 《충암문집》, 저서에는 《제주풍토록》 등이 있다.[1]

2. 1. 초기 생애

10세 이전에 사서(四書)를 통달하고 1504년 사마시에 합격했으며, 1507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성균관 전적, 홍문관 수찬지제교 겸 경연 검토관, 춘추관 기사관, 병조좌랑, 사간원 정언을 거친 후 문신(文臣)들을 시험하는 '정시'에 다시 장원급제하였다. 이후 병조정랑, 홍문관 부교리, 교리, 사간원 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1501년 충청도 도사로 부임했다가 1512년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교리, 이조정랑을 거쳤고, 1513년 독서당에 들어갔다. 그러나 얼마 후 벼슬을 사양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1514년(중종 9) 순창군수에 제수되어 부임하였다.

1515년(중종 10)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 윤씨가 사망하자, 중종반정으로 왕후 자리에서 쫓겨난 폐비 신씨를 복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김정은 고향인 보은 함림역(현 보은읍 학림리)으로 유배되었다. 순창군수로 있던 중 장경왕후가 인종을 낳다가 산증으로 사망했는데, 이때 일부 조정 대신들은 중종의 총애를 받던 후궁 경빈 박씨를 천거했다. 그러나 김정은 담양부사 박상과 함께 이를 반대하며, 박상과 함께 중종 비 신씨 복위 상소를 올렸다.

2. 2. 관직 생활

1504년 사마시에 합격해 1507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성균관 전적, 홍문관 수찬지제교겸 경연 검토관, 춘추관 기사관, 병조좌랑, 사간원 정언을 거친 후 문신(文臣)들을 시험하는 '정시'에 다시 장원급제하였다. 이후 병조정랑, 홍문관 부교리, 교리, 사간원 헌납 등을 지냈다. 1501년 충청도 도사로 부임했다가 1512년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서 교리, 이조정랑을 거치고 1513년 독서당에 들어갔다. 그러나 얼마 후엔 벼슬을 사양하고 다시 고향으로 내려왔다. 1514년 순창군수에 제수되어 부임하였다.

1515년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 윤씨가 죽자 그는 중종 반정으로 왕후자리에서 쫓겨난 폐비 신씨를 다시 맞아들이자고 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고향땅인 보은의 함림역(현 보은읍 학림리)으로 유배되었다. 순창군수로 있던 중 그는 장경왕후 윤씨가 인종을 낳다가 산증으로 사망했는데, 이때 일부 조정 대신들은 중종의 총애를 받고 있던 후궁 숙의 박씨를 천거했다. 그러나 김정은 담양부사로 있던 박상과 함께 이를 반대했다. 그리고 담양 부사 박상과 함께 중종 비 신씨를 복위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던 것이다.[1]

1516년 다시 등용되어 부제학, 동부승지, 도승지, 이조참판, 대사헌, 병조판서를 역임하고 조광조와 미신타파와 향약 시행 등 개혁 정치에 힘썼으나 1519년 기묘사화로 몰락해 충청도 금산으로 유배, 다시 제주도로 이배되었다가 위리안치(圍離安置)된 뒤, 사약을 받고 사사당했다.[1]

2. 3. 개혁 정치와 기묘사화

1516년 다시 등용되어 부제학, 동부승지, 도승지, 이조참판, 대사헌, 병조판서를 역임하고 조광조와 미신 타파와 향약 시행 등 개혁 정치에 힘썼으나 1519년 기묘사화로 몰락해 충청도 금산으로 유배, 다시 제주도로 이배되었다가 위리안치(圍離安置)된 뒤, 사약을 받고 사사당했다.[1]

폐비 신씨를 복위하는 데 적극 나서는 등 절의에 뛰어났다는 평가와 형조판서 재임 시절 감옥에 수인(특히 출세한 천인)들이 넘쳐나고 죽는 사람이 너무 많아 특별조사까지 받았던 무자비한 관료였다는 평가가 엇갈린다.[1]

2. 4. 최후

1519년 기묘사화로 몰락하여 충청도 금산으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제주도로 이배되어 위리안치(圍離安置)된 뒤, 사약을 받고 사사되었다.[1]

3. 평가

1576년(선조) 사후 55년 뒤 문간(文簡)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청백리로 녹선되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김호(金滸)평택현감(平澤縣監), 증(贈) 도승지(都承旨)
조부김처용(金處庸)증 병조참판(兵曹參判)
아버지김효정(金孝貞, ? ~ 1500년)호조정랑(戶曹正郞), 증 이조판서(吏曹判書)
어머니허윤공(許尹恭)의 딸판관(判官)
김광(金光)참봉(參奉)
부인송여익(宋汝翼)의 3녀진사(進士)
양자김철보(金哲葆)참봉, 김성발(金聲發, 1569년 ~ 1642년)의 조부[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